전체 글 32

레코벨 vs 고날에프, 누가 IVF 비용 효과 갑일까? – 일본 다기관 연구 리뷰

보조생식술(ART)이 건강보험에 포함되며, 시험관 시술(IVF)을 준비하는 환자들의 최대 고민은 “성공 가능성과 비용”입니다. 오늘은 일본 5개 난임클리닉에서 진행된 **레코벨(폴리트로핀 델타)**과 고날에프(폴리트로핀 알파) 비교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진료 현장에서 누가 더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인지 파헤쳐 보겠습니다.🧪 연구 개요: 실비 보험 적용 후 일본에서 진행된 ‘진짜 현실 데이터’연구 대상: 2022년 4월~2023년 12월, 일본 내 첫 보험 적용 IVF 시술 446건그룹 분류: 레코벨 200건 vs 고날에프 246건분석 방식: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해 두 그룹의 특성 보정(나이, AMH, AFC, COS 프로토콜 등)🔍 평가지표: 누적 임신율, 누적 출산율, 난소과자극증후군(..

💉시험관 아기 시술, 어떤 주사가 더 효과적일까? – 아시아 여성 대상 ‘레코벨’ 임상 결과 리뷰

보조생식술(ART)이 보편화되면서, 이제는 단순히 ‘임신 여부’뿐 아니라 얼마나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극 방식인가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IVF/ICSI 시술에서 사용되는 대표적 난소자극제 중 하나인 **레코벨(폴리트로핀 델타, follitropin delta)**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를 소개하며, 왜 이 약물이 '개인맞춤형 자극제'로 각광받고 있는지를 분석해보려 합니다.🧪 연구 개요: 레코벨 vs 고날에프, 아시아 여성에서 누가 더 우세?이번 임상시험은 중국, 한국, 대만, 베트남 등 아시아 4개국의 여성 100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레코벨(폴리트로핀 델타, follitropin delta)**은 AMH 수치와 체중을 기반으로 맞춤형 고정 용량으로 투여되었고, **고날에프(폴리..

난임 치료 중 에스트라디올이 인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 시험관 시술과 뇌기능의 관계

시험관아기 시술(IVF)이나 과배란 유도 등 난임 치료를 받는 여성들은 치료 도중 다양한 호르몬 변화를 겪습니다. 특히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 수치는 자궁 내막을 두껍게 만들기 위해 급격히 증가하는데요, 그렇다면 이렇게 높아진 여성호르몬이 우리의 인지 기능, 즉 뇌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스위스 취리히 대학병원 생식내분비학과에서 수행된 전향적 관찰 연구를 바탕으로, 난임 치료 중의 에스트라디올 상승이 인지기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연구 목적: 에스트라디올과 인지능력, 정말 연관 있을까?이전까지는 폐경 전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를 이뤘으며, 다양한 결과들이 나왔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에스트라디올이 기억력, 집중력, 공간지각 능력..

시험관아기로 태어난 아이들, 학교 성적 괜찮을까? – ART 아동의 학업능력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

보조생식술(AR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의 발달은 불임 부부들에게 큰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부모들이 여전히 우려하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렇게 태어난 우리 아이들, 학교에서는 잘 따라갈 수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이스라엘에서 수행된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바탕으로, ART 출생아의 학령기 학업성과와 인지 능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연구 배경: 시험관아기, 공부도 잘할까?이스라엘은 국가가 IVF를 적극 지원하는 나라로, 전체 출생아 중 4.7%가 ART를 통해 태어났습니다.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08년 사이에 ART로 임신한 561명과 자연임신한 600명을 모집하고, 아이들이 7세에서 9세 사이가 되었을 때 인지 능력, 시지각 통합,..

체외수정(IVF)으로 태어난 아이들, 건강은 괜찮을까? – ART 아이들의 장기 건강 결과 정리

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임신이 어려운 부부들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IVF(체외수정), ICSI(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동결배아이식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태어난 아이들의 장기적인 건강 상태는 어떨까요?이번 글에서는 『Upsala Journal of Medical Sciences』에 발표된 논문(2020년) 내용을 기반으로, ART 아이들의 신경발달, 대사, 성장, 호흡기, 생식 건강까지 전반적인 장기 건강 결과를 종합해 소개합니다.1. 신경발달: 대부분 정상, 일부 기술에서는 유의한 차이정신운동 발달과 언어, 사회성, 행동: 네덜란드, 덴마크, 호주에서 시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자연임신 아이들..

난소자극 전략 다시 보기: 시험관시술(IVF)의 개인맞춤 자극법 총정리

체외수정(IVF) 과정에서 '난소자극(ovarian stimulation)'은 배란을 유도하고 다수의 난자를 회수하여 성공적인 배아이식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여성의 연령, 난소 예비력, 질환 여부에 따라 반응은 크게 달라지며, 자극 전략 또한 달라져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발표된 종설 논문 「A reappraisal of ovarian stimulation strategies used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난소자극 전략의 최신 흐름과 임상 적용을 정리합니다.1. 난소자극 전 처치: 꼭 필요한가?난소자극 전 처치는 이전 주기의 경구 호르몬제 복용으로, 배란 시점과 난포 발달을 조율하기 위한 전략입니..

난소 저반응 환자의 IVF 전략 총정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한 이유

시험관 시술(IVF)에서 가장 어려운 환자군 중 하나는 바로 난소 저반응(Poor Ovarian Response, POR) 여성입니다. 이들은 일반적인 자극 프로토콜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아 채취 가능한 난자 수가 적고, 시술 취소율과 실패율도 높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Acta Medica Academica (2022)*에 실린 종설 논문을 바탕으로, 난소 저반응 환자에 대한 최신 정의, 분류 체계, 치료 전략을 종합적으로 소개합니다.1. 난소 저반응(POR)이란?난소 저반응은 일반적인 자극에도 불구하고 난포가 충분히 성장하지 않거나 난자 채취 수가 적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정확한 기준은 없지만, 2011년 **ESHRE(유럽생식의학회)**가 제시한 Bologna 기준에 따르면 아래 2가지 이상이..

ERA 검사, 임신 성공률을 높이는 비밀 무기일까?

착상 창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배아이식 전략시험관 시술(IVF)에서 배아 이식은 가장 결정적인 순간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건강한 배아라도 자궁 내막(endometrium)이 ‘준비된 상태’가 아니라면 착상은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바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자궁내막 수용성 검사(ERA, Endometrial Receptivity Array)**입니다. 최근 발표된 종설 논문에서는 ERA 기술의 과학적 원리, 임상 효과, 그리고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까지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오늘은 이 논문을 기반으로 ERA의 모든 것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자궁내막 수용성(Endometrial Receptivity)이란?자궁내막 수용성은 배아가 자궁에 착상할 수 있는 ‘창문’, 즉 **착상 창..

시험관 시술이 유방암 위험을 높일까?61만 명 대상 메타분석으로 본 난임치료와 암 발생의 연관성

시험관 시술(IVF)이나 배란 유도제를 사용할 때 많은 여성들이 걱정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유방암 위험 증가 여부입니다. 특히 난임 여성은 일반 여성보다 생식호르몬 치료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최근 BJS Open에 게재된 메타분석 논문을 바탕으로, 난임치료와 유방암 위험 간의 최신 연구 결과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연구 개요: 61만여 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메타분석이 메타분석은 617,479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총 25개의 관찰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대상은 IVF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호르몬 기반 난임치료이며, 비교 대상은 일반 여성 또는 난임이 있지만 치료받지 않은 여성 집단입니다. 연구는 PRI..

인간 생식 보존, 어떻게 이루어지나?난자·정자·배아 동결보존에 대한 최신 고찰

암 치료, 고령 임신 계획, 유전자 질환 보유 등 다양한 이유로 생식세포의 보존이 중요한 선택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체외수정(IVF)의 발전과 함께 난자 및 배아를 동결해 두는 **생식세포 냉동보존(fertility cryopreservation)**은 이제 선택이 아닌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Veterinary Science에 게재된 논문에서는 생식세포 동결기술의 원리와 최신 응용, 향후 과제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1. 생식세포 동결보존의 개념생식세포 동결보존이란, 난자(oocyte), 정자(sperm), 배아(embryo), 고환 및 난소 조직을 극저온 상태로 냉동하여 장기적으로 보존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느린 동결법(Sl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