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아이식 4

시험관아기 성공률, 제왕절개 때문이 아니라 '이것' 때문이다?

시험관아기 시술을 준비하거나 이미 경험해 본 분이라면, "제왕절개 출산 경험이 있으면 성공률이 떨어진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최근 2024년에 발표된 대규모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에 따르면, 제왕절개 그 자체보다 **‘이스트모실(isthmocele)’**이라는 자궁의 구조적 변화가 시험관아기 성공률을 더 크게 떨어뜨린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스트모실이란 무엇인지, 시험관아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대책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이스트모실(Isthmocele) 이란?이스트모실은 흔히 제왕절개 흉터 결손, 자궁흉터결손, 혹은 **니치(niche)**라고도 불리며, 제왕절개 수술 후 자궁 근육층(myometrium)의 치유가 불완전하게 ..

PGT-A, 정말 필요한가? 시험관 시술에서의 유용성과 논란을 정리하다

시험관 시술(IVF)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건강한 배아를 선택해 착상시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배아이식 전 염색체이상 선별검사(PGT-A)**입니다. 하지만 PGT-A가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지, 실제로 성공률을 얼마나 높이는지에 대해선 오랫동안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종설 논문(2024, Reproductive Sciences)은 PGT-A의 발전과 효과, 기술적 한계, 그리고 윤리적 논쟁까지 종합적으로 다루며, IVF 환자와 의료진이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염색체 이상, 생각보다 흔하다?사람의 난자와 정자는 각각 23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으며, 수정된 배아는 46개의 염색체(정상 핵형)를 가져야 합니다. 하지만 연구..

타임랩스 기술이 시험관 시술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까?

배아 선택 기술의 진화와 그 실효성, 과연 의미 있을까?시험관 시술(IVF/ICSI)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는 배아 선택(Embryo Selection)입니다.좋은 배아를 골라 자궁 내에 이식해야 임신 성공률이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최근에는 ‘타임랩스 모니터링(Time-Lapse Monitoring, TLM)’이라는 신기술이 배아 선택에 도입되고 있습니다.이 기술은 배아의 성장과정을 실시간으로 관찰해, 더 정확한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로 이 기술이 출산율이나 임신률을 높이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했습니다.그런 가운데 이번에 발표된 최신 메타분석 연구는전 세계 7,400명 이상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타임랩스 모니터링 기술의 효과를 정밀 분석했습니다.🔍 연구 목적과 설계연구..

시험관아기(IVF) 성공률, 무엇이 결정할까? 최신 연구에서 본 핵심 예측 요인 분석

시험관아기(IVF)는 많은 난임 부부에게 소중한 희망의 길입니다. 하지만 시술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 부담도 적지 않은 만큼, "내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은 누구에게나 따릅니다.그렇다면 어떤 요인들이 IVF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Fertility and Sterility에 2024년 3월 발표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바탕으로, 시험관 성공률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들을 정리해드립니다.연구 개요: 미국 단일기관, 3,000건 이상의 시술 데이터 분석이번 연구는 미국의 한 생식의학 전문 센터에서 진행되었으며, 총 3,034건의 자궁내배아이식(cleavage-stage or blastocyst transfer) 사례를 분석했습니다. 연구 대상은 2021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