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의 발전으로 임신이 어려운 부부들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IVF(체외수정), ICSI(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동결배아이식 등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태어난 아이들의 장기적인 건강 상태는 어떨까요?
이번 글에서는 『Upsala Journal of Medical Sciences』에 발표된 논문(2020년) 내용을 기반으로, ART 아이들의 신경발달, 대사, 성장, 호흡기, 생식 건강까지 전반적인 장기 건강 결과를 종합해 소개합니다.
1. 신경발달: 대부분 정상, 일부 기술에서는 유의한 차이
- 정신운동 발달과 언어, 사회성, 행동: 네덜란드, 덴마크, 호주에서 시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자연임신 아이들과 ART 아이들 간에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 인지 기능: 대규모 등록연구에서는 일부 연구에서 ICSI로 태어난 아이들에게 약간의 지능 점수 저하(평균 5~7점 낮음)가 보고되었지만, 대부분 연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특히 단일아(singleton)만 비교하면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 ADHD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전체적으로는 약간의 위험 증가가 있었지만, 다태아를 제외한 단일아 분석에서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 과거 연구에서는 위험 증가가 보고되었지만, 최근 대규모 자료에서는 출생주수나 다태임신 등을 조정하면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 결론: 다태임신 등 위험요소를 조정하면 대부분 ART 아이들은 신경발달에 문제가 없으며, 일부 기술(예: 동결배아이식)에서만 위험이 약간 증가합니다.
2. 심혈관 및 대사 건강: 혈압 상승 가능성, 대사적 문제는 거의 없음
- 혈압: 일부 연구에서 ART 아이들이 청소년기에 수축기/이완기 혈압이 약간 높은 경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소규모 연구이기 때문에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 당뇨병 1형: 대규모 스웨덴 연구에서 동결배아이식을 받은 아이들이 당뇨병 1형 위험이 약간 높았지만, 전체 ART 아이들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습니다.
- 콜레스테롤, 인슐린, BMI: ART와 자연임신 아이들 간 차이는 없었습니다.
👉 결론: 일부 심혈관 기능 이상 소견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건강 위험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3. 성장과 호흡기 건강
- 성장: ART 아이들은 저체중이나 조산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높지만, 대부분 첫 1년 이내에 체중·신장이 따라잡히며, 장기적으로는 자연임신 아이들과 성장 패턴에 큰 차이는 없습니다.
- 천식: 일부 연구에서는 ART 아이들의 천식 위험이 높았지만, 이는 부모의 불임 기간이나 기저질환(모성 천식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결론: ART 아이들도 대부분 정상적으로 성장하며,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은 부모의 기저 건강 상태와 관련이 깊습니다.
4. 암 발생 위험과 생식 건강
- 소아암: 영국, 미국, 북유럽 등에서 진행된 대규모 연구 대부분은 ART 아이들의 암 발생률이 일반 인구와 유사하다고 보고했습니다. 다만, 일부 연구에서는 동결배아이식으로 태어난 아이들에서 간암 및 배아세포종(embryonal tumor) 발생률이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생식 건강: ICSI로 태어난 남성의 경우 정자 수치가 다소 낮은 경향이 있지만, 여성의 생식기능은 정상입니다.
👉 결론: 소아암이나 생식 건강에 대한 큰 우려는 없으나, 동결배아이식은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5. 종합 정리 및 결론
건강영역ART 전체단일아 분석
신경발달 (언어, 사회성, 인지 등) | 대부분 차이 없음 | 차이 없음 |
ADHD, ASD | 약간의 위험 증가 | 차이 없음 |
뇌성마비 | 일부 연구에서 위험 ↑ | 대부분 차이 없음 |
혈압/심혈관 | 소폭 상승 경향 | 소규모 연구 한정 |
당뇨병 1형 | 전체적으로 차이 없음 | 동결배아에서 ↑ |
성장 | 차이 없음 | 동일함 |
천식 | 일부 연구에서 ↑ | 불임 자체가 원인 가능성 |
암 발생 | 전반적으로 차이 없음 | 동결배아에서 일부 ↑ |
생식기능 | 남성에서 정자 수 감소 가능성 | 여성은 이상 없음 |
현재까지의 데이터에 따르면 ART로 태어난 아이들 대부분은 건강하게 자라고 있으며, 크게 우려할 만한 건강상의 위험은 없습니다. 다만, 빠르게 발전하는 생식보조기술의 특성상,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추적 연구는 필수적입니다.
참고문헌
- Bergh, C., & Wennerholm, U.B. (2020). Long-term health of children conceived after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Upsala Journal of Medical Sciences, 125(2), 152–157. https://doi.org/10.1080/03009734.2020.1729904
'시험관아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소자극 전략 다시 보기: 시험관시술(IVF)의 개인맞춤 자극법 총정리 (2) | 2025.05.13 |
---|---|
난소 저반응 환자의 IVF 전략 총정리: 맞춤형 접근이 필요한 이유 (0) | 2025.05.13 |
ERA 검사, 임신 성공률을 높이는 비밀 무기일까? (0) | 2025.05.13 |
시험관 시술이 유방암 위험을 높일까?61만 명 대상 메타분석으로 본 난임치료와 암 발생의 연관성 (0) | 2025.05.13 |
인간 생식 보존, 어떻게 이루어지나?난자·정자·배아 동결보존에 대한 최신 고찰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