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관아기 정보

저하성 성선자극호르몬증 여성의 IVF 성공률, 정말 낮을까?

celeste77 2025. 5. 1. 13:33

시험관아기(IVF) 시술을 준비하는 여성 중 저하성 성선자극호르몬증(H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진단을 받은 경우, 성공률에 대한 불안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터키의 Zeynep Kamil 병원 연구진이 발표한 최근 논문은 이 불안을 덜어줄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IVF 치료를 받은 여성 1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이 중 69명은 HH를, 74명은 원인불명의 난임을 진단받았습니다. 연구는 IVF 성공률 비교와 함께 HH 여성에서 임신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주요 결과 요약

1. AMH 수치가 낮아도 IVF 성공률은 비슷했다

  • HH 그룹은 AMH 수치(1.64 vs 3.0)가 낮았고, HMG 주사 용량은 더 많았지만(5127 vs 2035 IU),
  • 임신 성공률(지속 임신률)은 HH 그룹 20.28%, 원인불명 난임 그룹 22.9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2. HH 그룹 내 임신 성공률에 영향을 준 요인

  • 에스트라디올 수치 상승: hCG 투여 전 E2 수치가 높을수록 성공률 증가 (2596 vs 1869)
  • 자궁내막 두께: 평균 10.82mm 이상에서 성공률이 높음 (비임신군은 8.43mm)
  • 채취된 난자 수: 난자가 많을수록 임신 성공 가능성도 높아짐 (12.14 vs 8.43개)

3. AMH 수치와 예측력은 낮음

  • HH 환자에서는 AMH나 AFC가 예측지표로 신뢰도 낮음
  • 이는 HMG 자극에 의해 호르몬 수치가 변화하기 때문

시사점

  • HH 환자도 IVF 성공 가능성은 충분하다: 보정된 자극 프로토콜과 적절한 관리 하에서는 임신 성공률이 일반적인 난임 여성과 크게 다르지 않음
  • 고용량 자극 필요성: HH 여성의 경우 평균적으로 더 많은 gonadotropin 용량이 필요
  • 정상 에스트라디올 수치, 자궁내막 두께, 난자 수 확보가 중요
  • AMH에 과도한 기대는 금물: 일반적인 난소 예비력 예측 지표는 HH 환자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음

결론

저하성 성선자극호르몬증은 IVF 성공의 장애물이 아닙니다. 적절한 호르몬 자극과 배란 유도 과정을 통해 임신 가능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자궁내막 두께와 에스트라디올 수치, 채취 난자 수 등의 임상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임신 성공률을 높이는 열쇠입니다.

앞으로 난임 클리닉에서는 HH 진단을 받은 여성에게 보다 정확하고 희망적인 예측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Eroglu M, Helvacioglu C, et al.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IVF success in women with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Eur Rev Med Pharmacol Sci. 2021;25:7750-7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