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관아기(IVF) 시술을 앞두고 있다면 “어떤 배란유도 방법이 나에게 맞을까?”라는 고민,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최근에는 고용량 호르몬 자극보다 부작용이 적고 자연에 가까운 방식인 **경증 배란유도(Mild Stimulation)**가 주목받고 있는데요, 실제로 임신 성공률, 난자 수, 비용, 부작용 등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과학적인 근거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오늘은 세계 각국에서 시행된 31편의 무작위대조연구(RCT)를 종합 분석한 논문을 바탕으로, 경증 배란유도와 고용량 배란유도의 효과 비교를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 배란유도, 왜 중요한가요?
시험관 아기 시술은 기본적으로 난자를 많이 채취하고 좋은 품질의 배아를 만들어 자궁에 이식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여성은 일정 기간 **난포자극호르몬(FSH)**을 투여받아 여러 개의 난자를 자라게 합니다.
전통적으로는 **고용량 배란유도(Conventional Stimulation)**가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방법은 높은 호르몬 용량으로 난자를 많이 얻을 수 있지만, 비용 부담이 크고 난소과자극증후군(OHSS) 같은 부작용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 **경증 배란유도(Mild Stimulation)**는 적은 양의 호르몬을 짧은 기간 사용하는 방식으로, 환자의 신체적·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비슷한 임신 성공률을 목표로 합니다.
🧪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 분석 대상 논문 수: 31편의 RCT 연구
- 포함된 여성 수: 총 6,070명
- 기간: 1990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연구
- 비교 기준: 생아출산율, 주기 취소율, 난자 수, 배아 수, 약제 사용량, OHSS 발생률 등
대상자는 난소반응 저하군(poor responder), 일반반응군(normal responder), **과반응군(hyper-responder)**으로 나누어 비교했습니다.
📊 주요 결과 요약
1. 생아출산율
- 경증 유도와 고용량 유도 간 유의한 차이 없음
- 즉, 적은 약을 사용해도 최종 임신 성공률에는 큰 영향이 없었습니다.
2. 난소과자극증후군(OHSS) 발생률
- 일반군에서 경증 유도는 OHSS 위험을 78% 감소 (RR 0.22)
- 고반응군에서도 53% 감소 (RR 0.47)
- 저반응군에서는 차이 없음
3. 주기 취소율
- 일반군에서는 경증 유도군에서 주기 취소율이 2배 이상 높음
- 하지만 저반응군, 고반응군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 없음
4. 채취된 난자 수
- 고용량 유도군이 더 많았음
- 하지만 고등급 배아 비율은 비슷했고, 임신 성공률에도 영향 없었음
5. 약제 사용량 및 비용
- 경증 유도군이 약 37% 적은 약제 사용
- 비용 절감 효과도 큼
💡 어떤 환자에게 어떤 방식이 더 좋을까?
생아출산율 | 높음 (비교적) | 비슷 |
OHSS 위험 | 높음 | 낮음 |
비용 | 높음 | 낮음 |
난자 수 | 많음 | 적음 |
주기 취소율 | 낮음 | 일부군에서 높음 |
적합 환자군 | 난자 수가 중요한 경우 | OHSS 위험이 높거나 비용 부담이 클 경우 |
🩺 임상적 시사점
이 연구는 기존 고용량 방식이 반드시 “더 좋은 결과”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특히 OHSS 발생 위험이 높은 고반응군이나 경제적 이유로 IVF 반복 시술이 어려운 경우, 경증 배란유도가 현명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저반응 환자의 경우에도 생아출산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난자 수보다 품질에 집중한 전략이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이 시사됩니다.
✅ 결론
- 경증 배란유도는 생아출산율에서 고용량 방식과 동등
- 약제 사용량과 비용, OHSS 발생 위험이 줄어듦
- 특히 일반군과 고반응군에서 경증 방식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뛰어남
💬 시험관 시술을 고민 중이라면, 무조건 많은 난자보다는 '나에게 맞는 자극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담당 전문의와 상의해, 몸에 무리가 덜 가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문헌
- Ata, B. et al. (2023). Mild versus conventional ovarian stimulation for IVF in poor, normal and hyper-respon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uman Reproduction Update.
'시험관아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소 기능 저하 여성에서 PRP 주입의 효과는? – 시험관 시술에 미치는 영향 (1) | 2025.05.05 |
---|---|
PGT-A, 정말 필요한가? 시험관 시술에서의 유용성과 논란을 정리하다 (0) | 2025.05.04 |
시험관 시술의 성공 예측 요인, 무엇이 가장 중요할까? (0) | 2025.05.01 |
시험관아기 성공률,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 IVF 성과 측정에 대한 합의가 필요한 이유 (0) | 2025.05.01 |
저하성 성선자극호르몬증 여성의 IVF 성공률, 정말 낮을까?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