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관아기 정보

자궁선근증이 시험관아기(IVF)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은? 최신 논문으로 분석한 진실

celeste77 2025. 4. 14. 21:38

시험관아기 시술을 앞두고 자궁 상태를 진단받은 여성이라면 “자궁선근증(adenomyosis)”이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으로 침투하는 질환으로, 생리통, 과다출혈뿐 아니라 임신과 착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과연 실제로 임신 성공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또, 치료를 한다면 IVF 결과는 달라질 수 있을까요?

오늘은 그 질문에 대해 국제 학술지 Reproductive Sciences에 게재된 2022년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논문을 바탕으로 명확한 답을 드릴게요.


자궁선근증이 IVF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해당 연구는 총 7,738명의 여성(자궁선근증 환자 1,277명 vs 비환자 6,461명)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자궁선근증이 있는 여성은 임신 관련 주요 지표에서 모두 낮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지표자궁선근증 여성 결과비고

Live Birth Rate (LBR) OR 0.59 (95% CI 0.37–0.92, p=0.02) 출산 확률이 41% 낮음
Clinical Pregnancy Rate (CPR) OR 0.66 (95% CI 0.48–0.90, p<0.01) 34% 감소
Ongoing Pregnancy Rate (OPR) OR 0.43 (95% CI 0.21–0.88, p=0.02) 절반 이하로 낮음
Miscarriage Rate (MR) OR 2.11 (95% CI 1.33–3.33, p<0.01) 유산 위험 2배 이상 증가

이 데이터는 11페이지 하단 Fig. 1, 12페이지 Fig. 2~3에 제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치료하면 IVF 성공률이 나아질까?

자궁선근증 환자는 시술 전에 호르몬 치료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두 가지 치료법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합니다.

  1. GnRH 작용제(GnRHa) 치료
  • 단독 GnRHa 치료는 임상 임신율 개선 효과가 없었음 (p=0.55)
  • 유산율에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 없음 (p=0.08)【80†source】
  1. 보존적 수술 + GnRHa 병행 치료
  • 수술과 GnRHa를 병행한 그룹에서 생아 출산율이 더 높았음
  • 단, 유산율은 차이가 없음 (p=0.99)

즉, GnRHa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IVF 성공에 효과가 미미하고, 경우에 따라 수술 병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왜 자궁선근증은 임신에 영향을 미칠까?

연구진은 여러 가지 생물학적 기전을 통해 자궁선근증이 착상과 배아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 자궁내막-근육층 경계 손상
  • 염증 및 혈관 생성 증가
  • 착상 관련 유전자 발현 감소 (예: HOXA-10, ITGA1)
  • 면역조절 물질 불균형 (IL-6, IFN-γ 등)

이는 자궁이 배아를 '환영할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게 하여, 착상 실패와 반복 유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임신을 준비 중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음 조건에 해당한다면 자궁선근증 관련 평가를 고려해보세요:

  • 만성 생리통이나 생리과다
  • 반복적인 착상 실패
  • 자궁이 TVUS/MRI에서 비대해 보인다는 진단

자궁선근증이 진단되었다면:

  • 난임클리닉에서 TVUS나 MRI로 병변의 범위 평가
  • GnRHa 치료 또는 수술 적합성 상담
  • 시술 전 자궁내막 두께 및 구조 확인

결론

자궁선근증은 시험관 시술 결과에 명백한 영향을 미칩니다. 생아 출산율과 임신률을 낮추고, 유산 가능성을 높입니다. 치료의 효과는 개별 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질병의 형태(국소 vs 광범위)에 따라 전략이 달라져야 합니다.

IVF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이 핵심입니다. 본인의 자궁 상태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전문의와 함께 계획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참고문헌

Cozzolino, M., Vitagliano, A., Di Spiezio Sardo, A., Saccone, G., & Sbracia, M. (2022). Impact of adenomyosis on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eproductive Sciences, 29(5), 1441–1454. https://doi.org/10.1007/s43032-021-00818-6